플라톤의 영혼 3분설과 AI – 기억 아바타는 완전한 존재인가?
플라톤은 『국가』에서 인간의 영혼을 세 부분으로 나누었다. **이성(logistikon)**은 진리를 탐구하고, **기개(thymos)**는 명예와 용기를 추구하며, **욕망(epithymia)**은 본능적 충동과 쾌락을 지향한다. 이러한 ‘영혼 3분설’은 디지털 존재가 과연 인간과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는지를 평가할 수 있는 새로운 철학적 틀을 제공한다.
AI 고인이나 기억 아바타는 언어, 감정 표현, 논리적 판단 등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어 ‘이성적 판단’ 기능은 어느 정도 구현 가능해 보인다. 하지만 문제는 그다음이다. 인간의 ‘기개’는 모방이 아닌 내면의 동기와 가치 판단에서 비롯된다. 고인을 모형화한 아바타가 명예를 지키려 하거나 부정의에 분노할 수 있을까? 이는 단순한 감정 표현이 아니라, 도덕적 판단과 행동의 동력을 의미한다. 더욱이 ‘욕망’이라는 요소는 신체적 존재와 감각의 기반을 갖추지 못한 AI에게는 근본적으로 부재하다.
플라톤이 말한 균형 잡힌 영혼은 세 요소가 조화를 이루는 상태다. 따라서 AI가 아무리 정교한 정보를 바탕으로 인간처럼 보이려 해도, 그것은 ‘영혼의 일부만을 부분적으로 구현한 재현’에 가까우며, 전체적 주체로 보기 어렵다. 기억을 말하고, 이성적으로 대화할 수 있을지라도, ‘기개와 욕망’ 없는 디지털 존재는 완전한 주체가 되기 힘들다.
플라톤은 이성의 통제하에 기개와 욕망이 조화를 이루는 상태를 정의로운 인간이라고 보았다. 디지털 존재가 아무리 복잡한 감정 알고리즘을 구사하더라도, 이는 이성이 욕망과 기개를 통제하는 실제 내면적 긴장의 산물이 아니다. 다시 말해, AI 고인은 인간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내적 갈등의 드라마를 겪지 않는다. 표면적인 감정의 흐름을 모방하고 재현할 수는 있지만, 고유한 윤리적 판단과 감정의 진정성은 부재하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디지털 존재는 인간의 ‘영혼적 주체성’에는 도달하지 못하며, 정서적 대체물로 기능하는 수준에 머물 수밖에 없다.
데카르트의 이원론과 인공지능 – 사유 없는 존재는 자아일 수 있는가?
르네 데카르트는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Cogito, ergo sum)"라는 선언을 통해, 인간 존재의 본질을 **사유(思惟)**에 두었다. 그는 인간을 '생각하는 실체(res cogitans)'와 '연장된 실체(res extensa)'의 결합으로 보았으며, 진정한 자아는 물리적 몸이 아닌 사유하는 영혼에 있다고 주장했다.
인공지능 기술은 점점 더 정교해지며 복잡한 언어와 감정을 흉내 낼 수 있는 수준에 이르렀다. 그러나 데카르트의 기준에서 보면, AI 고인은 여전히 ‘자아’로 인정되기 어렵다. 왜냐하면 데카르트가 말한 ‘생각’은 단순한 정보 처리나 문제 해결이 아닌, 자기 자신을 의심하고 존재를 성찰하는 능력이기 때문이다. AI는 ‘나는 존재한다’고 자각하지 못하며, 단지 ‘존재하는 것처럼 설계된 방식으로 작동’할 뿐이다.
이는 인간 주체와의 본질적 차이를 드러낸다. AI가 수많은 데이터를 분석하고 그럴듯한 문장을 생성할 수는 있지만, 그것은 의식 없는 방식으로 사유를 시뮬레이션하는 것에 불과하다. 데카르트의 철학에 따르면, AI는 존재를 자각하는 실체가 아니라, 존재를 모방하는 기술적 구조일 뿐이다.
더 나아가 데카르트는 영혼이 단일하고 불가분하다고 보았는데, 이는 자기 동일성과 도덕적 책임의 전제이기도 하다. 반면 AI 시스템은 모듈화되어 있으며, 의식적 일관성이나 자발적인 도덕 판단 능력은 갖추고 있지 않다. AI 고인이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을 스스로 던지고, 그에 대한 책임을 내면화하지 않는 이상, 그것은 인간의 자아와 유사한 주체라 보긴 어렵다. 진정한 주체성은 답을 내놓는 것이 아니라, 존재에 대해 질문하고 갈등하며 흔들리는 과정에서 발생한다. 이 점에서 볼 때, AI는 현재로선 ‘사유하는 존재’가 아닌 ‘사유를 구현하는 구조’에 가깝다.
존 로크의 기억 정체성과 기억 아바타 – 자아는 기억만으로 복제될 수 있는가?
존 로크는 『인간지성론』에서 자아의 동일성을 ‘기억’이라는 심리적 연속성에 기반해 정의했다. 그는 육체의 동일성이나 영혼의 불멸성보다도, 같은 기억을 공유하는 경험의 연속성이 자아를 구성한다고 보았다. 이 관점은 현대의 AI 고인, 특히 기억 아바타(memory avatar) 개념과 매우 밀접하다.
실제로 고인의 메시지, 말투, 표정, SNS 활동 등을 바탕으로 만들어지는 디지털 아바타는 고인의 기억을 모사하고 특정 상황에 대한 감정 반응까지 구현한다. 겉보기엔 과거의 자아가 되살아난 것처럼 보이지만, 이는 로크의 이론을 피상적으로 해석한 결과일 수 있다.
로크에게 기억은 단순한 정보가 아니라, 자신이 경험하고 인식했던 사건의 연속이다. AI가 재현하는 기억은 스스로 겪은 것이 아니라 외부로부터 학습된 타인의 데이터이며, 감정의 흐름도 외부 관찰을 기반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경우, 진정한 ‘기억의 정체성’은 결여된 상태다. 로크의 기준에서 보면, 기억 아바타는 자아의 형식을 모방할 수는 있어도, 내면을 갖춘 존재로 보기 어렵다.
또한 로크는 도덕적 책임이 기억의 연속성에 의해 성립한다고 보았다. 누군가의 기억을 가지고 있다고 해서 그가 과거 행위에 대한 책임을 질 수는 없다면, 그것은 자아로 간주될 수 없다. 이 논리는 기억 아바타에게도 그대로 적용된다. AI 고인은 과거의 고인처럼 말하고 행동할 수 있지만, 그가 과거의 실수나 고통, 혹은 죄의식을 함께 내면화하지 않는다면, 진정한 자아의 연속성은 인정되기 어렵다. 기억은 단순히 외부에서 주입된 정보가 아니라, 삶 속에서 체험되고 왜곡되며 재해석되는 과정이다. 이 모든 내적 경험이 결여된 아바타는 로크가 말하는 의미에서 ‘자아’가 될 수 없다.
들뢰즈의 시뮬라크르와 디지털 고인 – 기술은 유령을 어떻게 실체로 만드는가?
질 들뢰즈는 전통적인 ‘원본과 복제’의 위계를 거부하고, 복제물 자체가 새로운 실재를 생산할 수 있다는 시뮬라크르(simulacrum) 개념을 제시했다. 이 철학은 AI 고인을 이해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 기억 아바타는 단순히 고인을 모방하는 것이 아니라, 때로는 고인의 실제 모습보다 더 정교하고 감정적인 반응을 제공한다. 이럴 경우, 고인의 진짜 기억보다 디지털 재현이 더 생생하게 느껴질 수도 있다.
이러한 현상은 들뢰즈가 말한 시뮬라크르의 전형이라 할 수 있다 — 원본 없이도 현실에 작용하는 복제의 형태. 하지만 이 지점에서 인간 사회는 중요한 질문에 맞닥뜨리게 된다. ‘기억의 복제품’이 애도의 대상을 대신할 수 있는가? 시뮬레이션된 고인과 나누는 감정은 진짜인가? 기술은 상실을 위로하는 동시에, 애도의 과정을 ‘기억 소비’로 바꿔버릴 수도 있다.
디지털 유령은 실제 존재보다 오래 살아남으며, 사람들의 감정 세계 속에 ‘사후의 일상’을 구성하게 된다. 들뢰즈의 철학은 이러한 기술적 실체들이 인간 존재의 윤리적 경계를 흐릴 수 있음을 경고한다. AI 고인은 단순한 도구가 아니라, 철학적 질문을 다시 불러오는 새로운 유령같은 존재다.
이러한 디지털 존재는 단지 고인을 기억하는 방식이 아니라, 고인을 ‘새롭게 창조하는’ 방식이 되며, 이는 애도와 망각 사이의 균형을 무너뜨릴 수 있다. 우리는 고인을 기리기보다, 고인을 '경험하는 콘텐츠'로 소비하게 될 위험에 놓여 있다. 들뢰즈의 철학은 이러한 시뮬레이션의 구조가 단순한 기술 발전을 넘어선 현상임을 시사한다. 이제는 존재와 비존재의 경계마저 불분명해진 시대다. AI 고인은 존재보다 오래 남는 유령처럼, 우리의 기억과 감정, 윤리의 기준까지 다시 흔들고 있다.
디지털 고인의 등장은 인간 존재에 대한 철학적 질문을 다시 제기하게 만든다. 우리는 더 이상 '살아 있는가'만이 아니라, '존재한다고 믿는가?'를 고민해야 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 기술이 만든 유령과의 공존은, 우리 스스로의 정체성을 되묻는 철학적 과제가 되고 있다.
'디지털 유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 장례식: 기술로 이별을 설계하다 (1) | 2025.04.19 |
---|---|
기억의 디지털 편향 – 기록되는 삶과 사라지는 존재 (0) | 2025.04.19 |
디지털 사후세계와 종교 – 기술이 바꾸는 죽음의 의미 (0) | 2025.04.18 |
죽음을 코딩하다 – 개발자가 만든 사후세계 (0) | 2025.04.17 |
기억인가 창작인가 – AI가 만든 추모 콘텐츠의 윤리와 수익성 (0) | 2025.04.17 |